양인가 강아지인가?! 베들링턴 테리어에 대해서 알아봐요~!
본문
안녕하세요~~
구리강아지분양댕댕이들이에요!
오늘은 견종이름만 들으면 낯설지도 모르지만 생김새를 보신다면 아! 양같이 생긴 조금 독특해 어디서 본적이 있는 베들링턴 테리어에 대해서 알아볼려고해요! 요즘 인기도 많아지고 있는 베들링턴 테리어! 같이 알아보러가요!!
베들링턴 테리어의 역사
베들링턴 테리어는 19세기 초에 영국 노섬버랜드의 베들링턴 교구에 나타났다고 알려져 있는데 , 1825년에 노스버리 테리어와 베들링턴과의 교배로 태어났으며 , 사냥꾼과 함께 수색하는 역할을 하기도 하였으며 시간이 지나 엘리트
계층의 가정견으로 인기가 많아지기도 했어요~
그리고 베들링턴 테리어는 영국에서 광부들이 쥐, 오소리 등 해로운 동물들을 사냥하기 위해 개량 된 품종이라고 해요. 로마인 집시들과 함께 하는 경우가 많아서 집시견이라고 불리기도 했으며 , 초기에는 강하고 끈기가 있고 공격적인 면이 있어서 투견으로 활용을 하다가 19세기 이후 귀족들이 반려견으로 키우기 시작하면서 성격이 온순해 졌고 반려견으로 널리 알려지기 시작했데요.
베들링턴 테리어
베들링턴 테리어의
특징
베들링턴 테리어는 양과 닮은 외모를 가지고 있다고 했죠? 복실복실하고 하얀 털을 가지고 있으며 , 얼굴이 세로로 쭉 긴데요. 또한 조둥이가 톡 튀어나와 있어서 길어보이는 것도 있어요. 그리고 눈 사이도 멀어서 강아지보다는 양과 같은 동물로 보이기도 해요. 테리어는 촘촘한 머리와 곱슬한 털, 구부러진등과 유연한 몸, 우아하고 탄력있는 걸음걸이가 독특한 견종이랍니다. 머리가 좁고 깊으면서 둥근모양을 가지고 있고, 턱이
두개골보다 긴편이구요. 주둥이는 날씬하고 삼각형 모양의 귀가 빰에 딱!! 붙어있어요~ 가슴은 깊고 꼬리는 낮으며 앞다리가 곧고 토끼발같은 모양인게 신기해요.
그리고 길고 큰 축 늘어진 귀가 있는데 , 굉장히 특이하게 생긴 편인 것 같죠? 강아지 중에서 이런 외모를 가지고 있는 강아지가 정말 드무니까요~키는 38~43cm, 체중은 7~10kg 정도이며 , 생각보다 무게가 많지 않죠? 중형견치고 그렇게 큰 강아지는 아니에요. 모색은 회색, 적갈색, 황갈색,
짙은 황갈색 등이 있고 , 곱슬한털때문에털 날림이 적어 털 알레르기가 있는 분들이 많이 키우기도 해요. 그리고 털은 잘 빠지지 않고 털갈이도 거의 하지 않다고 하며 ,6주간격으로전문반려견스타일리스트에게미용을 해야 하는거 잊지 말아주세요~. .
베들링턴 테리어의 성격
성격은 어떨 것 같나요?~ 외모만 봤을 땐 너무너무 온순하게 생겼고, 양과 같이 얌전하고 온화한 느낌이 들죠? 그렇지만, 테리어 견종의 특징이 있는 친구라고 하며 , 고집이
센 편이고, 때론 사나운 공격성을 드러내기도 해요. 전반적인 성격은 좋은 편인데 , 테리어 성격은 쾌활하며 흥분을 잘하는 스타일이예요. 테리어 외모를 보면 온순한 양처럼 생겼는데 생각보다 흥분을 잘 하는 성격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복종훈련과 사회화는 필수!! 사회성이 좋아서 사람과도, 낯선 동물과도 굉장히 잘 어울리는 편이랍니다. 어린 아이들과 함께 키우기에도 굉장히 좋으며 , 사냥견으로 키워졌던 만큼, 작은 햄스터나 작은 동물과는
구리강아지분양함께 키우는 걸 추천하진않아요.
하지만 사냥을 하던 견종이기 때문에 매일 적절한 운동을 통해서 스트레스를 풀어 주어야 해요. 왜냐하면 지루한 상황들이 이어지면 안좋은 행동들을 보일 수 있기 때문에 적절한 운동과 놀이를 통해 스트레스 해소를 시켜주신다면 아파트와 같은 환경에서도 반려인과 함께 잘 살 수 있는 견종이니까요. 그래서 해외에서는 우울증 치료 도우미로, 치료견으로도 이용된다고 해요. 또한 힐링을 주는 강아지로도
활동하고 있구요.
베들링턴 테리어
베들링턴 테리어의 질병 및 유전병
테리어는 유전적으로 문제가 있는 경우도 있는데 , 안구질환과 구리중독이라는 유전병이 있다고 해요. 그리고 구리중독은 선천적으로 단백질을 분해하지 못해, 간에 구리가 쌓이게 되는 질병이예요. 초기에는 어떤 증상이 보이지 않다가, 이후에는 구토와 식욕부진을 보이면서 돌연사까지 할 수 있는 치명적인 질병이니까요..
치료법은 현재 없다고 하며 , 분양할 때, 유전자 검사를 하거나 모견,
부견의 병력을 확인해보는게 좋다고 하네요!!
댓글목록 0
댓글 포인트 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