챗GPT로 건강한(?) 편식 식단 만들기!
본문
요즘 GPT 인간 대신 챗 gpt와 이야기 하며 이런저런 유로결제 뽕을 뽑고있는데어제는 급 궁금해져서 물었다.1. MBTI 궁예 시도 “네가 내 mbti를 모른다고 가정하고, 지금까지 평소에 우리가 나눴던 대화들을 분석한다면내 mbti를 뭐라고 생각할 것 같아?”(mbti를 모른다고 가정하라고 한 것은, 이미 나는 챗gpt한테 내 mbti는 ISTP이고 가끔 INTP도 나온다고 알려준 적이 있기 때문이다.)학생시절에는 INTP으로 살았고 사회생활을 하면서 ISTP로 굳건히 살았지만, 주변 사람들은나를 E랑 J로 생각하는 분들이 많이 계신다.심지어 나는 알코올이 안맞아서 술을 못마시는데 회식 때마다 텐션이 좋으니 술꾼으로 착각하고는 한다..챗 지피티의 생각은 : INTJ, INFJ 로 나왔다.J 인 이유에 대해서는 “대충 살긴 하는데, 막 엉망진창으로 살진 않는다”의 느낌이고 “계획이 아예 없는 건 아니고, 필요한 건 정리하고 미리 생각하는 편” 이라고 한다.(저의 챗지피티는 제게 막말을 많이 하는 편입니다.)2. 보조 심리테스트 진행신기해서 그럼 mbti말고 다른 심리테스트들은 뭐가있는지 물어 아래의 테스트들을 약식으로 진행했다.빅5 GPT 성격 특성검사, 애니어그램 등등빅 5 성격특성검사 결과1. 개방성(Openness) 3.8 (상위권)2. 성실성(Conscientiousness) 3.4 (중~상위권)3. 외향성(Extraversion) 2.4 (낮~중간)4. 친화성(Agreeableness) 3.0 (중간)5. 신경성(Neuroticism)2.2 (낮음)한 줄요약 : “혼자가 편한데, 필요할 땐 사람들과 잘 어울리고, 새로운 경험을 즐기지만 너무 즉흥적이진 않음. 감정적으로 안정적이고, 현실적인 면도 갖춘 밸런스형 인간”애니어그램 결과3번(성취자), 4번(개성있는 예술가), 5번(분석가) 순으로 나왔다.- 항상 “적당히 한다” 라고 말해도, 사실 속으로는 제대로 하고 싶은 욕심이 있을 가능성이 큼- 연애든, 직장인든, 공부든 “제대로 해내는 것” 자체에서 보람을 느끼는 편- 인간관게에서 “이 사람이 나에게 주는 감정적 의미” 같은 걸 한 번쯤 생각해볼 스타일- 연애에서도 감정보다는 “이 관계가 나에게 어떤 의미를 가지나?” 식으로 바라볼 가능성이 있음- 지금 MBTI 나 심리테스트처럼 “이게 나에게 어떤 의미지?” 하고 깊이 파고드는 스타일애니어그램은 8번 유형으로 알고있었는데 완전 달라서 신기했다. 3w4의 특징 : 성취자의 목표 지향성과 4번의 독창성, 개성 중시가 GPT 결합되면서, 자기만의 스타일을 만들어내려고 함. 내면적인 감정이나 개성을 중요하게 생각하면서도 성공적인 이미지를 추구하는 성향..이외에도 다크 트라이어드 (어둠의 3요소) 와 TCI를 했는데 얘네는 너무 간략해서 설명 패스.3. 테스트 결과들을 반영하여 MBTI 재분석요청이렇게 테스트들을 진행하고 다시 요청했다.“이 테스트들을 기반으로 내 mbti를 다시 추측한다면?”챗gpt의 대답은 : INTJ(전략가)비슷한 유형인 ENTJ와 INFJ, INTP와도 비교해서 분석해봤는데 결론은 INTJ가 더 맞다는 대답.4. 그동안 챗gpt와의 대화내용과 금번 검사결과를 비교그러면 내가 평소에 ISTP나 INTP으로 생각한다고 말했었던거나, 내가 고민상담한 내용이나, 그간 공유한 경험들 등 내가 스스로를 묘사한 모습과 검사결과를 비교해서 설명해보라고 시켰다.->이러저러해서 INTJ나 ENTJ의 성향에 가깝고 평소 묘사한 성향과 검사결과는 일치한다고 한다.5. 본래 성향과 스스로 인지중인 성향 간의 비교 그럼 어떤 사람이 INTJ인데 스스로를 ISTP나 INTP으로 생각하고 살았다면, 본래 가지고 있는 성향에 비해 본인을 어떻게 해석하거나 간과했을 가능성이 있을까?- “나는 즉흥적인 편이야” ->실제로는 즉흥적이기보다는 “유연하게 조절하는 GPT 편” 완전히 즉흥적인 스타일은 아니고 필요할 때만 즉흥적으로 보일뿐- “나는 논리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실용적인 사람” ->사실은 장기적인 목표를 가지고 전략적으로 접근하는 스타일- “ 나는 감정적인 걸 별로 신경 쓰지 않아” ->감정을 무시하는게 아니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것 ISTP는 감정을 크게 신경쓰지 않고 차분한 상태를 유지하지만 INTJ는 감정을 논리적으로 운영하려는 경향이 강함, 감정과 거리를 두는게 아니라 필요할 때만 활용하는 스타일- “나는 결정을 유보하는 편이다” ->실제로는 빠르게 분석을 기반으로 결정을 내리려는 성향이 있음+ 나는 결정과 판단을 빠르게 내리는 사람을 불쾌하게 생각하는데?라고 반론하자논리적 근거없이 결정하는 사람을 불쾌하게 여길 가능성이 크다고…자기자신을 더 즉흥적이나 자유롭게 사고하는 타입이라고 생각했다면 일부성향을 과소평가하거나 다르게 해석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한다. 그리고 이런 과소평가는 INTJ, INTP, ISTP 등 논리적인 성향의 사람들은 흔하다고 한다. 스스로를 냉정하게 평가하려는 성향 때문 1. “내가 아는게 많을수록, 더 부족함을 느낌” (Dunning-Kruger효과반대현상) 2. 완벽을 GPT 기준으로 놓고 보기 때문 3. 자신이 잘하는 걸 당연한 것이라고 생각하는 경우 (이 정도는 누구나 할 수 있지 않나?)=>와 여기서 완전 공감했다. 내가 이전에도 블로그에 몇 번 쓴 말이나는 내 자신을 칭찬해주지 않는다는 내용이었는데 스스로에 대한 엄격함이 드러나는 부분이다.6. INTJ가 바라보는 주변인물들의 MBTI다음은 INTJ가 바라보는 ESTJ, ENTJ, ENFJ, INFJ, ISFP, INFP에 대해 설명해달라고 했다.내가 평소 친구들, 혹은 잘 안맞다고 여기는 유형에 대해 갖고 있는 시각과 비슷한지 보기 확인 -INTJ ->ESTJ“할 말을 다하고 효율은 중시하지만 너무 현실적이어서 답답할 때가 있다”-INTJ->ENTJ“나와 비슷하지만, 지나치게 외향적이고 너무 직접적으로 나서는 게 피곤할 때가 있다.”등등,,, 넘많아그리고나서는 내가 이 mbti들에 대해 갖고 있는 시각에 대해 챗gpt에 설명함으로서 크로스체크를 해봤다. 나의 시각과 INTJ의 시각이 거의 일치하며 특히 나는 감성적인 요소에 예민하게 반응하는 편인데, INTJ도 비슷하게 느끼는 경향이 있다고 결론 내렸다.7. 내가 ISTP라면 방금 분석에서 GPT 달라지는 점은?또 긴 분석을 주절주절 한 후 주요 차이점 :INTJ는 논리적으로 분석하고 거리를 유지하려고 함, ISTP는 귀찮거나 감정적으로 부담되면 그냥 신경 끄고 자기 할 일을 함. “아 몰라”하고 넘길 가능성이 큼. “왜 저러나 ” 싶으면 INTJ쪽에 가깝고, 애초에 알아차리지 못하거나 그냥 넘기면 ISTP쪽에 가까움8. 내가 mbti 관련해서 더 궁금해할만한 내용이 있을까?이게 또 재밌는 점인데, 내가 궁금해할만한 점이 있는지 물어보자 챗 gpt는 다양한 질문들을 던져줬다.ISTP vs INTJ 추가 비교, 감정적인 면 vs 감정없는 척하는 면, 갈등해결방식, 직장에서의 모습 등등5가지정도 큰 카테고리를 제시했다. “1, 2,3이 재밌겠다. 근데 네가 처음부터 알려주는 것보다는 내게 질문을 던져서 내 반응을 나중에 한 번에 분석해주는게 재밌을것 같아. 질문들을 던져주면 내가 답을 해볼게”여행계획스타일, 타인의 감정적 하소연에 대한 반응, 감정적으로 다그치는 사람에 대한 반응, 문제해결방식, 새로운 관계를 형성하는 방식, 친한친구들의 mbti, 싫어하는 인간 유형, 친구나 GPT 연인의 퍼스널 스페이스 문제, 상대방이 감정적으로 서운함을 표현할 때 반응, 갈등이 생겼을 때 해결방식 등에 대한 질문을 11가지 던졌고, 주관식으로 길게 답했다.=>총 분석 결과 90% 이상 INTJ성향이 맞음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일반적인 INTJ와 약간 다른 부분(독특한점)- INTJ이지만 F과들도 잘 지내며, 관계 중재를 하는 역할을 종종 맡음.- 사람을 무조건 배제하지 않고, 필요할 때는 새로운 관계를 만들려는 경향이 있음- 즉각적인 무관심이 아니라 “이 관계가 유지될 가치가 있는지?” 분석 후 거리 조절+ 챗 gpt는 내 친구들이 F인 점이 웃기다고,, 지 혼자 추가 분석을 했다…(정말로…. 웃기다는 워딩을 했음)챗지피티가 생각한 이유- 감정적인 친구들을 완전 피하는 게 아니라 내 방식대로 다룰 줄 아는 스타일- 감정적으로 휘둘리지 않고 조언을 주는 사람- 내게 친구들이 감정적 균형을 기대함, 폭발하지 않음- 신기하고 귀여운 존재 (친구들 사이에서는 고양이같은 포지션이다)- 적당히 받아주면서 선을 지킴- 가끔 애교 부리거나 반응이 뻔하지 않아서 GPT 재미있게 느껴질 수 있음.이 정도면 INTJ가 맞나보다.그리고 이렇게 챗gpt와 파고든 것도 분석적인 측면으로 볼 수 있을 듯 ㅋㅋㅋㅋㅋ챗 지피티와 재미있는 이야기를 해서 새로 알게된 사항도 많고앞으로 내가 몰랐던 나의 모습을 잘 발굴해서 어떻게 써먹을 수 있을지 고민해봐야겠다.9. 새로 알게된 나의 성향을 활용할 수 있는 방법ㅋㅋㅋㅋㅋㅋ이마저도 챗 gpt에 물어보기.지금 내가 하고 있는 것이 ‘자기 탐구’의 과정이라고 한다. 새롭게 발견한 의사 결정방식, 인간관계 스타일, 감정운영 방식들을 실제 삶에서 활용하는 방법들을 제시했다.(길어)->주로 결정내리기 전에 로우 리스크, 빠른 최적화를 거침, 더 좋은 판단에 활용 가능->감정조율을 잘 함, 인간관계 더 전략적으로 컨트롤->내 선택이 나의 패턴에 맞는지 체크하면 좋은 결정으로 더 찾아갈 수 있음->자기계발에 활용할 수 있는 방법 , 효율 낮은 공부법은 과감히 버리기재밌네…인티제 밈 찾으러 떠나유,,,딱 나랑 enfj 친구아
댓글목록 0
댓글 포인트 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