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조 시장의 새로운 강자들: 웅진과 코웨이의 진출이 몰고 올 변화
본문
오늘은 프리드라이프 최근 뜨거운 이슈로 떠오르고 있는 국내 상조 시장의 변화를 다뤄보려고 합니다. 특히 대기업인 웅진그룹과 코웨이가 잇따라 상조 업계에 뛰어들면서 시장 판도가 어떻게 바뀔지, 그리고 이들이 어떤 전략으로 소비자들을 공략할지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상조 시장이 단순히 장례 서비스를 넘어 생애주기 전반을 아우르는 새로운 블루칩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출처 : 보람상조
1. 상조 시장, 왜 이렇게 뜨거울까?
최근 국내 상조 시장은 급격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선수금 규모만 봐도 2015년 3조 5천억 원에서 지난해 초 9조 4천억 원을 돌파했고, 올해는 드디어 10조 원을 넘어설 것으로 예상됩니다. 가입자 수도 같은 기간 404만 명에서 892만 명으로 2배 이상 증가했죠. 반면 상조 업체 프리드라이프 수는 243개에서 77개로 줄어들며 시장이 재편되고 있는 모습입니다. 이는 2019년 정부가 상조 업체에 자본금 15억 원 이상, 선수금 50% 예치 의무화를 도입하면서 인수·합병과 구조조정이 가속화된 결과로 보입니다.
그렇다면 상조 시장이 이렇게 커진 이유는 뭘까요? 첫 번째는 고령화입니다. 한국은 빠르게 초고령 사회로 진입 중이고, 이에 따라 장례 및 실버 케어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어요. 두 번째는 놀랍게도 2030세대의 가입 증가입니다. 과거 상조가 중장년층의 전유물이었다면, 이제는 젊은 세대도 합리적인 소비와 구독경제의 일환으로 상조에 관심을 보이고 있죠. 예를 들어, 프리드라이프는 지난해 2030 신규 계약이 2021년 대비 2배 이상 늘었고, 보람상조의 2030 가입 비율도 2021년 17%에서 2023년 프리드라이프 30%로 껑충 뛰었습니다.
상조 서비스도 진화 중입니다. 단순히 장례를 돕는 데서 끝나는 게 아니라, 웨딩, 여행, 인테리어, 반려동물 케어 등 생애주기 전반으로 확장되고 있어요. 이런 전환 상품 덕분에 상조가 더 이상 먼 미래의 이야기로 느껴지지 않고, 당장 필요한 서비스로 다가오고 있는 거죠.
출처 : 매경이코노미
2. 대기업의 상조 시장 진출: 웅진과 코웨이의 행보
이런 매력적인 시장에 대기업들이 가만있을 리 없겠죠? 최근 가장 주목받는 두 플레이어는 바로 웅진그룹과 코웨이입니다.
코웨이의 도전: 렌털 업계 1위로 잘 알려진 코웨이는 지난해 10월 코웨이라이프솔루션이라는 자회사를 설립하며 상조 시장 진출을 선언했습니다. 초기 자본 100억 원을 투입한 이 회사는 단순한 상조를 넘어 실버 세대의 프리드라이프 생애주기 전반을 케어하는 서비스를 목표로 하고 있어요. 예를 들어, 프리미엄 실버타운, 문화, 여행, 요양, 장례 등 다양한 라이프 솔루션을 준비 중입니다. 코웨이는 올해 상반기 본격 론칭을 앞두고 파일럿 상품으로 시장 반응을 테스트하고 있죠. 렌털 사업의 노하우와 700만 명에 달하는 고객 기반을 활용해 상조 시장에서도 빠르게 자리 잡을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웅진의 야심: 웅진그룹은 한 발 더 나아가 프리드라이프라는 업계 1위 기업 인수를 눈앞에 두고 있습니다. 프리드라이프는 선수금 2조 2,964억 원, 누적 회원 221만 명(지난해 상반기 기준)을 자랑하는 거대 플레이어예요. 웅진은 사모펀드 VIG파트너스로부터 배타적 우선협상권을 확보하고, 5월쯤 인수를 마무리할 계획입니다. 과거 코웨이를 매각하고 재인수했던 프리드라이프 경험을 살려 이번엔 상조 업계 선두로 도약하려는 포부가 엿보이죠.
기존 상조 시장에도 대기업 계열사가 많았어요. 교원라이프(교원그룹, 선수금 1조 3,266억 원), 대명스테이션(대명소노그룹, 1조 2,633억 원) 등이 대표적입니다. 여기에 웅진과 코웨이가 가세하면서 경쟁은 더욱 치열해질 전망입니다.
3. 웅진과 코웨이, 왜 상조에 뛰어들었을까?
이 두 기업이 상조 시장에 관심을 가진 이유는 크게 두 가지로 정리할 수 있습니다.
기존 사업과의 시너지: 웅진은 교육, 코웨이는 렌털로 유명하죠. 이들의 강점은 방문 판매 네트워크와 고객 관리 노하우입니다. 상조 서비스는 이런 인프라와 결합하면 엄청난 시너지를 낼 수 있어요. 예를 들어, 코웨이는 렌털 고객에게 상조 서비스를 연계해 판매하거나, 렌털료 지원 혜택을 얹은 상품을 설계할 수 프리드라이프 있습니다. 실제로 교원라이프는 LG 가전 구독과 상조를 결합한 상품으로 고객 혜택을 강화했죠. 웅진도 프리드라이프의 영업망과 웅진씽크빅의 교육 네트워크를 활용해 교육·상조 결합 상품을 내놓을 가능성이 큽니다.
신사업 확장 필요성: 교육 산업은 저출생으로 위축되고 있고, 렌털 시장은 4050 중장년층에 치우쳐 있어요. 반면 상조는 고령화와 2030세대 유입으로 성장성이 높습니다. 특히 웅진은 성인 교육과 건기식으로 사업을 다각화하며 시니어 시장을 공략 중인데, 상조는 이 전략과 딱 맞아떨어지죠. 코웨이 역시 렌털 고객층을 젊게 확장하려는 시도에서 상조가 매력적인 선택지로 보인 겁니다.
한 업계 관계자는 이렇게 말했어요. “웅진과 코웨이처럼 오랜 방문 판매 경험과 전문 인력을 가진 기업이라면 상조 시장에서 충분히 경쟁력을 발휘할 프리드라이프 수 있다.&rdquo실제로 상조는 구독경제와 비슷한 구조라, 2030세대가 “소유보다 경험”을 중시하는 트렌드와도 잘 맞습니다.
출처 : 프리드라이프
4. 앞으로의 전망: 기회와 위기 공존
웅진과 코웨이의 진출로 상조 시장은 어떤 변화를 맞을까요?
기대감: 대기업의 참여로 시장이 더 커질 수 있다는 낙관론이 있습니다. 경쟁이 치열해지면 서비스 품질이 올라가고, 고객 선택지도 다양해질 테니까요. 또 선수금 관리와 투명성이 강화되며 업계 전반의 신뢰도도 높아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현재 상조 기업은 선수금 50%만 예치하면 나머지 50%는 자유롭게 운용할 수 있는데, 대기업 진출을 계기로 정부가 규제를 강화할 움직임을 보이고 있어요. 공정위 관계자도 “선수금 대여 등 불투명한 운영을 막기 위해 법 개정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우려: 반면 프리드라이프 출혈 경쟁에 대한 걱정도 나옵니다. 고객 확보를 위해 무리한 프로모션이나 가격 경쟁이 벌어지면 업계 전체가 흔들릴 수 있어요. 한 관계자는 “올 하반기부터 모객 경쟁이 치열해질 것”이라며 출혈 경쟁 가능성을 언급했죠. 특히 웅진은 과거 코웨이 인수·매각 과정에서 재무 부담을 겪은 전례가 있어, 이번 프리드라이프 인수 자금 조달(약 1조 원)이 시장에 충격을 주지 않도록 신중해야 합니다.
5. 상조 시장의 미래는?
웅진과 코웨이의 상조 시장 진출은 단순한 기업 확장을 넘어, 고령화 시대의 새로운 소비 트렌드를 반영한 전략으로 보입니다. 장례를 넘어 삶 전반을 아우르는 서비스로
진화한 상조는 앞으로도 성장 가능성이 무궁무진해요. 다만, 대기업의 참여가 업계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오려면 프리드라이프 투명한 운영과 차별화된 서비스가 뒷받침되어야겠죠.
댓글목록 0
댓글 포인트 안내